지역사회건강조사는 이전 포스팅에서도 다뤘듯 복합표본 설계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해당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해야 합니다.
SPSS에서는 복합표본을 다루는 방법이 달라서 이와 같은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복합표본은 층화추출과 집락추출을 더한 방식을 말합니다.
표본 선택
먼저 표본 계획을 작성하겠습니다.
분석 > 복합 표본 > 표본 선택에서 표본 계획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표본 계획에서 찾아보기를 눌러 새로운 계획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새로운 파일을 만들지 않아서 파일이 없지만 파일 이름을 지정하면 그 이름을 가진 계획 파일이 생성됩니다.
다음을 눌러 계획 파일의 내용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계층화 기준 변수와, 군집 변수, 그리고 표본 가중값 변수를 설정합니다.
여기서 마침을 누르면 계획 작성이 완료됩니다.
그러면 변수가 새롭게 추가되고 요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석 준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는 이미 표본이 추출되어있기 때문에 바로 분석 준비 단계로 넘어가도 무방합니다.
다시 분석 > 복합 표본에 들어가 분석 준비를 해보겠습니다.
계획 파일을 작성하겠습니다.
찾아보기를 눌러 새로운 계획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경로를 설정하고 파일 이름을 지정하면 해당 경로에서 다음 분석 계획 파일이 저장됩니다.
바로 마침을 눌러 계획 저장을 마치면 됩니다.
그러면 이러한 요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빈도분석
아까 작성한 계획파일을 불러옵니다.
표본 추출 계획 파일은 csplan, 분석 계획 파일은 csaplan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합니다.
모집단의 크기를 시도번호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모집단 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제일 왼쪽 1, 2는 연간 스케일링(치석제거) 경험 여부로 1이 경험했다. 2가 경험하지 않았다를 의미합니다.
모집단 크기 옆 숫자는 빈도표로 선택했던 시도변수의 카테고리이고 B 추정값은 해당 시도별 경험했다고 답한 응답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한 번 계획 파일을 생성하면 해당 데이터셋과 계획 파일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