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문해력으로 디지털을 단순히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디지털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해하고 개인의 목적에 맞게 새롭게 정보를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디지털 관련 기술을 알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비판적인 사고가 가능하고 안전과 윤리를 생각해야 디지털 리터러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업 등 조직에서 디지털 기술(AI, IoT,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조직 문화를 바꾸고,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시장의 변화에 맞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으로 변화하는 과정 및 경영전략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기업을 넘어 국가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트윈 vs 메타버스
1. 디지털 트윈 : 현실 세계의 다양한 요소들을 가상 공간에 구현한 것이다. 현실세계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2. 메타버스 : 현실 세계를 똑같이 구현하지 않아도 되며, 훨씬 좋은 가상 공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동적타이핑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미리 선언하지 않고, 프로그램 실행 시에 데이터 타입을 체크한다. 따라서 실행시에 자유롭게 데이터 타입이 변경이 가능하다.
데이터 타입
메모리 효율성을 위해 데이터 타입 마다 메모리를 할당한다.
1. 데이터 타입
1) 숫자형
2) 문자형
2. 데이터 구조 structure
1) 리스트
2) 딕셔너리
3) 셋
shallow copy vs deep copy
1. shallow copy : 객체의 참조값, 주소값만 복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사 대상의 값이 바뀌면 복사한 값도 바뀌게 되는 것처럼 두 변수간 독립성이 성립하지 않게 된다.
2. deep copy : 다른 메모리 공간에 값을 복사함으로써, mutable 객체의 두 변수간 독립성을 유지해 준다. 다른 메모리 공간에 복사한 것이므로 두 변수의 주소값이 달라진다.
* mutable 객체만 주의하자.
Operator
이미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나 키워드를 의미한다.
1. 산술 연산자 : 계산을 위한 연산자이다.
+ - / * %(나머지) ** //(나눈 후 몫이 소수점이면 내림)
2. 관계 연산자 : 연산자 좌우에 위치한 변수의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로 반환값은 참, 거짓이다.
== ! = > > = < < =
3. 논리 연산자 and or not in
4. 대입 연산자 : 변수의 저장 값을 대입하는 = 기호
왼쪽 부분에는 변수만 가능하고 오른 쪽의 값이 왼쪽 부분에 대입된다.
단축 대입 연산자느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결합한 것
Control statement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
1. 조건문 : if elif
- if : 조건식이 참이면 실행할 문장이 처리되고, 거짓이면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고 종료
- if - else : 조건식이 참이면 if 조건 실행문이 실행되고, 거짓이면 else 실행문이 실행된다.
2. 반복문 : for, while
- for : 주로 시퀀스형 데이터를 순회하면서 각 요소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시퀀스에 있는 각 요소들을 차례대로 변수에 할당 → 할당된 변수를 기반으로 반복할 코드 블록이 실행 → 코드 블록의 실행이 완료되면 다시 시퀀스로 돌아가 다음 요소를 할당하여 반복을 수행 → 시퀀스에 더 이상 요소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작업을 수행
for 변수 in 시퀀스 :
반복할 코드
- while : 조건식의 값이 참이면 문장을 수행하고 조건식이 참인 동안 계속 반복한다.
3. 분기문 : break, continue
- break :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사용한다.
- continue : 블록의 남은 부분을 건너뛰고 반복문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리스트 지원함수
append() : 리스트 뒤에 항목을 추가한다.
pop() : 리스트 제일 뒤의 항목을 빼내고 빼낸 항목은 삭제한다.
sort() : 리스트의 항목을 정렬한다.
reverse() : 리스트 항목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
index(위치) : 지정한 값을 찾아서 그 위치를 반환한다.
insert(위치, 값) : 지정된 위치에 값을 삽입한다.
remove(값) : 지정한 값을 제거한다. 단, 지정된 값이 여러 개 일 떄 첫 번째 값만 지운다.
extend(리스트) : 리스트 뒤에 리스트 추가한다.
count(값) : 리스트에서 찾을 값의 개수를 센다.
del(리스트[위치]) : 리스트에서 해당 위치의 항목을 삭제한다.
len(리스트) : 전체 항목의 개수를 센다.
'Pos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관련 용어 정리 (3) (0) | 2024.06.21 |
---|---|
IT 관련 용어 정리 (1) (0) | 2024.06.19 |